ISA 계좌에서 예수금이 있는데도 인출이 안 되는 경우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. 질문자님 상황을 하나씩 짚어드릴게요.
1) 출금 가능일이 아직 안 됐을 때
ISA 계좌에 들어있는 돈이라도, 매수·매도 직후라면 결제일(D+2 영업일) 이후에야 실제 출금이 가능합니다. 특히 주식 매도 대금이나 펀드 환매 대금은 ‘예수금’에 표시돼도 바로 출금 불가할 수 있어요.
2) ISA 계좌 특성
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는 원래 장기 투자 목적이라, 일부 증권사나 은행에서는 만기 전 중도 인출 시 절차가 까다롭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. 단, 예수금 중 일부만 인출이 가능하도록 제한이 걸려 있을 수 있어요.
3) 자동재투자·정기납입 설정
매달 납입 계획이 설정돼 있거나 자동투자 설정이 걸려 있다면, 해당 금액이 출금 가능금액에서 제외됩니다. 4) 출금 가능금액과 예수금 차이
화면상 예수금은 ‘계좌 내 현금성 자산’이지만, 실제로 바로 뺄 수 있는 돈은 ‘출금 가능금액’으로 따로 표시됩니다. HTS·MTS나 은행 앱에서 ‘출금 가능금액’을 꼭 확인해 보세요.
확인 방법- MTS/HTS에서 [출금 가능금액 조회] 메뉴 확인 - 결제일 D+2 이후에도 출금이 안 되면 고객센터에 ‘ISA 중도 인출 가능 여부’ 문의 - 자동투자, 정기납입 설정 여부 확인 혹시 예수금이 100만 원이라도, 결제 대기나 ISA 규정상 묶여 있는 금액이면 바로 출금이 안 될 수 있습니다.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, 위 방법으로 확인해 보시면 정확한 이유가 나올 거예요. 응원합니다.
더 깊이 있는 내용은 아래 블로그에서 참고해 보세요.
ISA 계좌 비과세 전략 + 연금 연결법 정리|IRP·연금저축으로 옮기는 꿀팁투자를 하면서도 세금을 줄이는 방법, 찾고 계신가요?요즘 가장 주목받는 제도 중 하나가 바로 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입니다.ISA 계좌는 단순한 투자 계좌를 넘어✔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절세형 상품이자✔ 3년 이상 보유 시 연금계좌로 자금 이동도 가능한 전략 자산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ISA 계좌란 무엇인지비과세 한도와 구조IRP·연금저축 계좌와의 연결 전략까지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✅ ISA 계좌란? (Individual Savings Accou...
4you2study.tistory.com